서울 강서구쓰리 대표 상권으로 불리던 화곡 상권도 코로나19(코로나) 확산세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26일 상가정보연구소(상정연)가 한국감정원 통계를 분석한 결과 올해 3분기 화곡동 상권 중대형 상가 평균 공실률은 16.4%를 기록했다.
이는 서울 중대형 상가 평균 공실률 8.5% 대비 7.9%p 높은 수치다. 서울 주요 상권 50곳 중 8번째로 높다. 화곡동 상권은 점점 더 상황이 악화되고 있다. 실제 올 3분기 화곡동 중대형 상가 공실률은 2분기 공실률 7.1% 대비 5.8%p 증가했다.
이는 강남대로 상권(7.9%p 증가)을 제외하고 서울에서 가장 높은 상승폭이다. 상권 내 매출에서도 상권의 침체를 느낄 수 있다. 상정연이 SK텔레콤 빅데이터 서비스 플랫폼 지오비전 통계를 통해 화곡동 상권 내
커피전문점 매출을 살펴본 결과 9월 기준 평균 추정 매출은 974만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상권이 속한 강서구 커피전문점 평균 매출 1051만원 대비 77만원 낮은 강서구쓰리 매출이다. 또한 화곡동 커피전문점 매출은 강남대로 상권 추정 매출 2083만원 대비 1109만원 낮았다.
판교 업무지구 상권 매출 2056만원 대비 1082만원 낮은 매출로 조사됐다. 조현택 상정연 연구원은 “과거 화곡동 상권은 강서구청, 강서 경찰서 등을 비롯한 공기관들과 다양한 기업들이 있어 강서구를 대표하는 상권이었다”며
“그러나 유흥상권으로 자리잡은 화곡동 상권에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은 치명타를 줬고 최근에는 화곡동에 위치한 강서구청이 마곡지구로
이전을 앞두고 있어 상권은 더욱 분위기가 얼어붙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어 “따라서 기성세대 유흥문화에 집중된 화곡동이 20·30대를 겨냥한 젊고 특색 있는 상권으로 분위기를 바꾸지 않는 이상 상권의
이러한 침체된 분위기는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편 9월 기준 화곡동 상권의 일평균 강서구쓰리 는 10만9907명으로 조사됐다.